독도 디저트 와 의자 문양 일본은 왜 남북 정상 만찬회의 "독도 디저트"와 남북 정상이 앉았던 "독도 문양 의자"에 대해 항의를 하고 있나? 그 이유는 어이없게도 일방적인 주장인 독도가 자기네 영토인데 독도가 포함된 한반도기가 그려졌기 때문이다. 망고 무스로 만든 케익에 꽃장식과 독도가 그려진 한반도기를 장식한 독도 디저트 NHK 보도에 의하면 일본 정부가 4ㆍ27 남북정상회담이 끝난 뒤에도 남북 정상회담 만찬의 ‘독도 디저트’에 대해 한국 정부에 재차 항의했다고 합니다. NHK는 메뉴 변경 요청에도 불구하고 독도가 그려진 디저트가 제공된 것에 대해 일본 정부가 다시 항의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일본 외무성은 남북 정상이 앉은 의자와 김정은 위원장이 소감을 적은 방명록의 한반도 지도에도 독도가 그려진 것에 대해 항의의 뜻을 전했다.. 2018. 5. 3. 식사와 가정 식사와 가정 함께 하는 식사 시간이 가족간의 유대 강화와 가정을 튼튼하게 해 주는가? 요즘 인기 TV프로그램 "한끼 줍쇼"를 보면서 가정마다 사연이 없는 집이 없구나 하는 것을 느낍니다. 이렇듯 “인생이 항상 매혹과 온정과 평안으로 충만한 것은 아니며 때로는 슬픔과 눈물로 가득하다. 그러나 인생의 행불행과는 상관없이, 우리는 먹어야 한다. 행복한 자나 불행한 자들 모두 훌륭한 식사를 통해 삶의 원기를 회복할 수 있다.”라고 미국 작가 로리 콜윈은 이야기 합니다. 요즘도 특히 서양의 많은 가정에서는 매우 가치 있는 한 가지 의식(儀式)을 지키고 있습니다.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온 가족이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어떤 방해도 허용.. 2018. 5. 3. [건강] 홍제천, 걷기 그리고 이름 모를 들꽃 홍제천, 걷기 그리고 이름 모를 들꽃 걷기 운동을 하기 위해 가끔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홍제천에 가곤 한다. 홍제천은 북한산 수문봉. 보현봉. 형제봉에서 발원하여 종로구, 서대문구를 관통하여 마포구 구간의 국가하천인 한강 우측으로 흘러 드는 지방하천이다. 총 길이는 13.38Km 이며, 이 중 6.12Km가 서대문구의 14개동 중 7개동 (홍은1· 2동, 홍제1·3동 ,남가좌1·2동,연희동)을 지나고 있어 서대문구민에게는 친숙하며 언제나 편안히 쉴 수 있는 쉼터 입니다. 마침 걷는 시간이 이르다 보니 인적이 거의 없었는데 홍제천변을 걷다 보니 이름은 잘 모르지만 예쁜 꽃이 만발하였다. 예쁜 꽃구경하면서 걷는 기분은 참으로 기분 좋고 상쾌했다. 걷기는 보약이다 이라는 말이 있는데 정말인가? 그리스의 .. 2018. 5. 2. 돌바나나로 아이스크림 만들기 : 돌코리아 이벤트 요나나스 당첨 어제 마트에 가서 바나나를 고르다가 우연히 돌바나나 이벤트를 하는 것을 발견하고는 망설임없이 돌바나나를 사서 이벤트에 참여했는데 이렇게 놀랄 일이 ! 그만 돌코리아에서 주는 아이스크림 제조기 요나나스 경품에 당첨되었네요.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요나나스가 요렇게 생겼네요. 얼른 요나나스가 왔으면 하고 기다려지네요. 앞으로 요나나스로 만든 시원하고 맛있는 과일 아이스크림을 귀여운 애들과 많이 많이 만들어 먹을 생각을 하니 미소가 저절로 지어지네요. 2018. 5. 2. <나폴레옹이 평생 먹었던 로얄제리> 나폴레옹이 알프스 산맥을 넘어가면서 했던 말 중에 있습니다. "내 사전에 불가능이란 없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 1769년 8월 15일 ~ 1821년 5월 5일)는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황제였다. ‘나폴레옹 법전’은 세계의 민법 관할에 크나큰 영향을 미쳤지만,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역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유럽 전체에 헤게모니를 형성했고, 프랑스 대혁명의 이상을 퍼트렸으며, 이전 정권의 양상을 복원하는 제국 군주제를 통합했다. 그가 전쟁마다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가장 위대했던 장군들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이렇듯 18~ 9세기 초중반에 유럽을 뒤흔들었던 나폴레옹은 사랑했던 조세핀을 위해 스태미너 음식만 먹다 보니 섬유질 식사를 소홀히 한 .. 2018. 5. 1.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방한으로 유명해진 '독도새우'> 독도새우가 우리에게 급속히 알려지게 된 것은 2017년 11월 7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 방문을 환영하는 국빈만찬에 독도 새우를 올렸고, 일본이 발끈했기 때문이었다. '독도새우'는 독도 주변 해역에서 잡히는 물렁가시 붉은새우, 가시배새우, 도화새우를 아울러 이르는 것인데 이 새우들은 살이 단단하고 단맛이 뛰어나 미식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지만, 어획량이 많지 않아 고급 식재료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독도 새우는 껍질을 제거하고 소금을 살짝 뿌려 먹는 것이 가장 맛을 이끌어내는 조리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 청와대는 이 새우를 어떻게 구입했을까? 경북 울릉군에는 '독도새우'를 판매하는 '독불수산'이라는 업체가 있다. 경북 포항에서 경남과 경기, 서울까지 독도새우를 납품한다. 매일 직접 울릉도에.. 2018. 4. 30. <놀라운 바닷가재 이야기> 오늘은 아주 고급진 요리의 대명사인 바닷가재에 얽힌 재미있고도 놀라운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우리들이 바닷가재를 좋아 하는 이유는 아주 맛있다는 것이다. 특히, 따뜻하게 녹인 버터를 곁들여서 요리한다면 맛이 좋다. 그런데 맛있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우리들은 바닷가재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다. 가장 놀라운 이야기는 이 바닷가재가 "줘도 안 먹는 음식"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미국이 아직 영국의 식민지로 있었던 시절, 미국에서 바닷가재는 가난의 상징이었다고 합니다. 죄수들이나 노예들에게 제공되는 음식이 바로 바닷가재였다고 합니다. 이들에게 하루 세끼 중 두 끼가 바닷가재로 제공될 정도였습니다. 이들은 ‘제발 바닷가재를 그만 달라’고 했을 정도 였다고 하네요. 심지어 미국 인디언들은 바닷가재를 식용.. 2018. 4. 28. 이전 1 ··· 48 49 50 51 다음